역사
  • [기획 연재] 한국 노동운동사①
등록일 : 2022.12.31
2-1.jpg
 

 

3.1운동 당시 전체 참가 대중에 비하면 숫자가 많지는 않았으나 초기 단계부터 노동자들은 만세시위에 나섰다. 이후 일제하 노동운동과 독립운동 발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는데, 이 같은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ㅡ3.1운동에서 노동자들의 활약
1919년 3월 9일 오전 시작된 전차 노동자들의 파업은 3월 29일까지 20일 동안 계속되었다. 3월 10일 종로 4가에서 300여 명의 시위대는, 파업에서 빠져 전차를 몰던 운전수를 폭행하고 “왜놈에게 혹사되면서 운동에 가담하지 않는 자는 사람이 아니다. 하루 속히 자살하라”는 선전문을 뿌려대며 곳곳에서 전차에 돌을 던지고 운행을 방해했다. 서울에서 평상시 운행되던 58대 가운데 무장한 일본군이 동승한 19대만이 운행되었다. 26일에는 20량의 전차가 시위대에 의해 대파되었다.

 

2-3.png

 1919년 3월 22일 남대문역 부근 만세시위 기소자

 

ㅡ노동자들의 시위행진, 꺼져가던 시위운동에 불 붙여
일반 시민들의 시위가 거의 중단되어갈 무렵, 서울에서 만세 시위에 다시 불을 붙인 것은 3월 22일 노동자 조직인 ‘노동회’(노동대회)가 주도한 ‘노동자대회’였다. 이 시위에 참가한 노동자들은 대부분 철도 노동자들이었다. 3월 27일에는 철도기관수 차금봉이 주도하여 만철경성관리국 조선인 노동자들이 시위에 나섰다. 삼엄한 경계 속에서도 만철경성관리국의 조선인 노동자 900명 가운데 85명의 탈락자를 뺀 800여명이 참가했다. 노동자들은 서울역 앞에서 파업시위를 벌였으며, 파업은 3월 31일까지 5일간 계속되었다. 철도노동자들의 파업을 이끈 차금봉은 후에 1920년 조선노동공제회, 1924년 조선노농총동맹 활동을 거쳐 1928년 노동자 출신으로 4차 조선공산당 책임비서로 임명되었다. 그는 1929년 일제의 모진 고문 끝에 옥사한다.

 

2-4.png

1919년 3월 27일 철도노동자들의 시위를 이끌고 조선노동공제회, 조선노농총동맹 활동을 거쳐 1928년 제4차 조선공산당 책임비서를 지낸 차금봉 조서

 

2-5.png

 1925년 5월 1일자 동아일보 만평

 

ㅡ‘임금인상’ 요구도 제시
노동자들이 파업하면서 내세운 요구는 83%가 임금인상이었다. 8시간 노동제 요구도 이미 1919년 노동자 파업투쟁에서 등장한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물가는 뛰고 실질임금은 낮아졌다. 조선인 노동자들은 세계에서 기아 임금으로 소문난 일본인 노동자들에 비해 그 절반도 못 되는 저임금에 장시간 노동으로 시달렸다. 생존권이 위협받던 상황에서 노동자들은 임금인상과 노동시간 단축을 요구하며 3.1운동 대열에 합류하였다. 

 

ㅡ한국독립운동사의 의의
1919년 3~4월을 어떻게 경험했고, 또 경험한 사건을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했는지에 따라 많은 사람들의 삶과 실천이 달라졌다. 3.1운동 참가자들 가운데 일부는 비폭력 운동의 한계를 절감하고 만주와 연해주로 망명하여 독립군 단체에 들어가 무장항쟁에 나섰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의 승리를 계기로 1920년대 농민운동과 노동운동은 사회주의운동과 맥을 같이하며 발전하였다.

 (※ 이 글은 민주노총 <노동과 세계>에 실린 [박준성의 노동자 역사] “1919년 ‘3.1운동’에 참가한 노동자들”을 축약하였다.)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용량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취소

역사

인물탐구] <아리랑>의 주인공--김산(1)

2023.01.19

역사

인물탐구 일제강점기 노동혁명을 꿈꾼 항일운동가 이관술(3)

2023.01.19

역사

인물탐구 일제강점기 노동혁명을 꿈꾼 항일운동가 이관술 (2)

2023.01.19

역사

인물탐구 일제강점기 노동혁명을 꿈꾼 항일운동가 이관술 (1)

2023.01.19

역사

1930년대 적색노조운동

[기획연재] 한국노동운동사③

2023.01.04

역사

일제 식민지시대 최대 노동자투쟁ㅡ 원산 총파업

[기획연재] 한국노동운동사②

2023.01.04

역사

1919년 ‘3.1운동’과 노동자

[기획 연재] 한국 노동운동사①

2022.12.31